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즈니스4

UN의 지속가능한 개발계획(2015) UN의 밀레니엄개발계획이 완료 된 후 2015년 제70차 UN 총회에서 '지속가능한개발계획'이 발표되었다. 17개 목표 및 169개 세부목표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이 큰 화두가 되었고, 2015 이후 세계는 좀 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사이 파리 기후협약이나, 미국의 기후변화협약 재가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고 전기자동차나 수소자동차 등 탈탄소사업 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17가지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목표는 아직도 멀리 있다. 1. 빈곤 퇴치 2. 기아 해소(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 3. 건강과 웰빙(보건 증진) 4. 양질의 교육(교육 보장과 평생학습 향상) 5. 성 평등 달성과 여성역량 강화 6. 깨끗한 물과 위생 제공과 관리.. 2022. 1. 5.
비즈니스모델 변천사와 전략에 접근하는 5가지 방법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2015년에 나온 자료를 보면, 비즈니스 모델은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이 우선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용건)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하는 솔루션 확보. 기존 시장이 아닌 대체 시장과의 융합을 통해 신규 고객군을 발굴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성공적인 가치 제안은 고객의 중요한 업무를 해결하거나 심각한 문제를 해결 할 때, 그리고 고객이 기존의 해결책에 만족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고 한다. 아래의 링크에서 수십가지의 전략들을 볼 수 있다. 몇가지 전략들에 대한 소개를 하면 다음과 같다. 1965년에 나온 GAP Analysis 는 현재와 미래의 차이(GAP)를 인식하고 변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도록 도와준다. 1969년에 나온 SWOT분석은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으로 구분하여 그에.. 2022. 1. 4.
비즈니스 모델과 프로세스를 알아보자(블루오션 쉬프트 예시)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은 사업을 함에 있어 성공의 핵심적인 내용을 정의하거나, 사업 운영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설계도나 프로세스, 또는 프레임워크와 같다. 아래와 같이 질문해 볼 수 있다. 왜 비즈니스를 시작했는가? 비즈니스 대상고객 누구인가? 시장규모는 얼마인가? 고객의 니즈는 무엇인가?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가치제공 방식은 무엇인가? 수익모델은 무엇인가? 수익규모는 얼마인가? 경쟁사와의 차별화 요소는 무엇인가? 경쟁사와의 차별화 지속기간은 얼마인가? 경쟁사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시장 진입방법은 무엇인가? 비즈니스 시스템이 있는가? 사업운영전략이 있는가? 자원조달방안은 있는가? 운영자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https://www.slideshare.n.. 2022. 1. 3.
자료로 부터 지혜를 얻자 DIKW 모델은 자료(Data, 사실)로 부터 정보(Information)를 만들고, 잘 정리된 정보에 기반해 지식(Knowledge)을 만들고, 지식에 유연성을 더해 현명한 지혜(Wisdom)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혜는 새로운 가치(Value)를 창조할 수 있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비가 온다는 사실은 우산을 챙기게 한다. 우산을 사용하다 보면 휴대가 용이한 3단 우산과 같은 더욱 더 편리한 우산을 고민해 보게 한다. 그리고 새로운 지식으로 우산을 만들어 볼 수 있다. 그러다가 우산 자체가 없으면 어떨까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다다를 수 있다. 3D프린터나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4차 산업이 삶을 바꾸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2022. 1.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