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3D 프린팅의 일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자. 제조방법의 분류와 공정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하자.
이 자료들은 기본적으로 아래의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한국의 산업 : 주요 산업의 가치사슬 분석과 경쟁우위 원천을 중심으로」, 3D프린팅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VOL 21-04 2021.04 KEIT PD ISSUE REPORT, ISSUE 2 의약품 3D 프린팅 기술의 현재와 미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제품의 제조 방법은 크게 적층가공, 절삭 가공 그리고 조형가공으로 나눌 수 있으며 3D 프린팅은 이 중 적층 가공으로 분류된다.
적층가공 : additive manufacturing; AM
절삭가공 : subtractive manufacturing, 정밀가공(절삭, 연삭, 연마 등)
조형가공 : formative manufacturing, 사출, 프레스(주조, 금형)
3D프린팅은 적층 가공으로 분류되지만 지속적으로 기술과 성능이 좋아지고 있으므로 제작하려는 사물의 삼차원 설계도면에 따라 소재를 쌓는 방식의 새로운 제조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3D프린팅은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고 설계도면대로 사물을 즉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기존 대비 생산속도가 느리고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아래 그림에 적층 제조 3D 프린팅 공정 7 단계(Additive manufacturing 3D Printing process in 7 steps)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다. 적층 제조라는 것은 연속적인 재료 레이어를 사용하여 3D 개체를 생성하는 기술을 말한다.
1단계 : 3D 모델 생성
2단계 : STL 파일 생성 (3D CAD 파일을 STL 파일로 변환)
3단계 : STL 파일을 프린터로 전송
4단계 : 3D 프린터 설정
5단계 : 3D 프린터 출력
6단계 : 서포트 제거
7단계: 후가공
https://engineeringproductdesign.com/additive-manufacturing-process-steps/

3D 프린팅 출력부분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앞에서 소개한 과정 5단계에서는 3D 프린터가 재료를 가지고 입체를 쌓는 과정을 거친다.
익스트루더를 통해 재료를 공급받은 후 노즐이 좌우로 움직이며 인쇄를 하며, 한 레이어가 쌓인 경우 노즐이 조금씩 올라가며 적층을 하게 된다.
프린터에 따라서 노즐이 아닌 베드가 내려가는 것도 있다.
아래 그림은 3D 프린터의 작동 원리와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END
'3D pr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프린팅_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의 분류2 (1) | 2022.01.26 |
---|---|
3D 프린팅_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의 분류1 (2) | 2022.01.25 |
3D 프린팅_3D 프린팅 역사를 알아보자 (0) | 2022.01.16 |
Cura를 이용해 3D 프린터 출력하기2 (0) | 2022.01.03 |
Cura를 이용해 3D 프린터 출력하기1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