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적층가공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제 표준 기관 ASTM에서는 적층가공의 공정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전체 7개 범주이며, 융합분야가 늘어나고 있다.
액층 광중합, 분말 소결, 결합제(접착제) 분사, 소재 분사, 판재 적층, 소재 압출, 직접 용착으로 분류한다.
https://www.i-scoop.eu/industry-4-0/additive-manufacturing-3d-printing/
위의 그림과 거의 유사하지만 간단하게 이미지로 제시된 분류도 아래 제시되어 있다.
아래 그림에서
액층 광중합(vat photopolymerization)은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SLA)과 마스크 투영 이미지 경화 방식(DLP)으로 구분된다.
소재 압출(material extrusion)은 융합수지 압출적층조형 방식으로 FDM이라 한다.
분말 소결(powder bed fusion)은 선택적 레이저 용해(SLM)와 소결(SLS)로 구분된다.
VOL 21-04 2021.04 KEIT PD ISSUE REPORT ISSUE 2, 의약품 3D 프린팅 기술의 현재와 미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또한, 적층가공 공정을 사용하는 재료(액체, 고체, 파우더)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3갈래로 분류할 수 있다.
액체는 소재 압출(material extrusion), 액층 광중합(vat photopolymerization), 소재 분사(material jetting)
고체는 판재 적층(sheet lamination)
파우더는 분말 소결(powder bed fusion), 직접 용착(directed energy deposition), 결합제 분사(binder jetting, 또는 접착제 분사) 로 구분된다.
개별 항목별 세부적인 사항은 다음에 계속해서 다룬다.
.END
'3D pr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TIP)렙랩 프로젝트(Reprap project) 이해하기 (0) | 2022.01.27 |
---|---|
3D 프린팅_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의 분류2 (1) | 2022.01.26 |
3D 프린팅_3D 프린팅의 일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자 (0) | 2022.01.17 |
3D 프린팅_3D 프린팅 역사를 알아보자 (0) | 2022.01.16 |
Cura를 이용해 3D 프린터 출력하기2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