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D printing

3D TIP)렙랩 프로젝트(Reprap project) 이해하기

by beamaker 2022. 1. 27.
728x90
반응형

렙랩 프로젝트(Reprap project)의 RepPap의 의미는 Replicating Rapid Prototyper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말로 하면 신속한 프로토타입 복제기라고 할 수 있다.
2004년 영국에서 시작된 3D 프린터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의미하는데, 영국 바스 대학의 아드리안 보이어(Adrian Dowyer) 박사가 만들었다. 그는 스스로 복제하는 3D 프린터 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해 ‘렙렙(reprap)' 오픈 소스 개념을 고안하였고, 모든 사람들과 기술을 공유하여 쉽게 3D 프린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들어진 3D 프린팅 방식이 FDM(fused deposition modeling)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상표가 이미 등록되어 있어서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로 명명하여 사용하였다.
개방형 디자인으로서 이 프로젝트의 모든 디자인들은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권인 GNU GPL로 배포하고 있다.

아드리안 보이어 박사가 테드x에서 발표한 동영상은 아래에 있다.
https://youtu.be/XxJgZnhq7I4 

아래 그림에 보면 부모와 자녀로 자기복제된 3D프린터를 설명하고 있는 아드리안 보이어를 볼 수 있다. 맨 아래의 사진은 지금도 사용가능한 두번째 3D프린터 모델인 Reprap Mendel(렙렙 멘델)이다.

https://reprap.org/wiki/Mendel/kr 

아래 가운데 그림은 렙렙 웹페이지이다.

www.reprap.org 
https://reprap.org/wiki/RepRap 
https://reprap.org/wiki/RepRap/kr 

오른쪽 아래 그림의 푸르사 i3(iteration 3)는 RepRap의 코어 개발자인 Prusajr가 최근에 진행중인 3D 프린터이다.
https://reprap.org/wiki/Prusa_i3/kr 
https://www.prusa3d.com/ 

이 글에 나오는 오픈 소스(open source)는 소스 코드를 의미하지만 디자인 문서, 또는 제품의 내용을 사용할 권한이 포함되기도 한다. 

세부적인 오픈 소스의 의미는 위키백과에서 찾아볼 수 있다.

https://www.wikiwand.com/ko/%EC%98%A4%ED%94%88_%EC%86%8C%EC%8A%A4

.END

728x90